투자 분석

[Turnaround] 전략

SKY-STONE 2024. 10. 28. 21:25
  • "Turnaround" 기업은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, 경영 개선이나 외부 지원을 통해 반등할 가능성이 있는 회사
  • 경영 개선(내부 요인) 반등은 완전 새로운 변화를 추진하고 그 변화가 수익성 향상으로 직결되는지 파악 필요
  • 외부 지원(외부 요인) 반등은 한 나라의 대표적인 산업에서 정부의 개입과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 필요

  • 주식은 실적이 좋을 때 사는 것이 아니다, 즉, 지금 당장 실적이 좋지 않더라도 Turnaround 할 수 있는 힘이 있는 기업을 매수하는 것이다.
  • 현재 삼성전자는 악재의 연속에 있지만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산업/기업이며 재무 구조 개선에서 매우 좋은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.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없을 것 같다.
  • "악재에 사고 호재에 판다"를 잊으면 안되며 SK하이닉스 전량 매도 후 삼성전자에 투자해서 검증할 예정

 

경영 개선(내부 요인)

  1. 재무 구조 개선 - 비용 절감
    • 스타벅스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때 전 세계 매장을 재검토하여 수익성이 낮은 매장을 폐점하고,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전략을 실행했습니다. 그 결과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후 회복세를 보였습니다.
  2. 수익성 향상 전략 - 고수익 제품 확대
    • 애플(Apple)은 제품 라인업 중 수익성이 높은 고급 모델(예: iPhone Pro, MacBook Pro)을 확장하는 전략을 사용해 수익성을 극대화했습니다.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군을 확대하면서도 고부가가치를 유지하여 매출과 수익을 증가시켰습니다.
  3. 효율적인 운영 관리 - 업무 프로세스 개선
    • 도요타(Toyota)는 "도요타 생산 시스템(TPS)"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했습니다. 재고 관리와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칸반 방식과 저스트인타임 방식을 도입해, 생산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고품질 제품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  4. 인적 자원 개발 - 교육 및 역량 강화
    • 삼성전자직원 교육에 많은 투자를 하며 지속적으로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삼성 인재 개발원(Samsung Leadership Center)을 통해 최신 기술 트렌드와 경영 기술을 교육하고 있으며, 이를 통해 글로벌 인재로 성장시켜 왔습니다.
  5. 마케팅 및 브랜드 전략 강화 - 고객 중심 마케팅
    • 넷플릭스(Netflix)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맞춤형 추천 기능을 강화하며 고객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펼쳤습니다. 이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충성도를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췄습니다.
  6. 디지털 전환(DX) 전략 -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
    • 아마존(Amazon)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모든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유명합니다. 고객의 구매 패턴과 검색 기록을 바탕으로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하고, 효율적인 재고 관리와 배송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.
  7. 위기 관리 및 리스크 대응 - 리스크 관리 시스템 도입
    • 존슨앤드존슨(Johnson & Johnson)은 타이레놀 독극물 사건 이후 강력한 위기 관리 시스템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입했습니다. 이 사건을 투명하게 공개하고, 모든 제품을 회수하는 과감한 결정을 통해 브랜드 신뢰를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.

 

외부 지원(외부 요인)

  1. GM(General Motors)
    • 외부 지원: 2008년 금융위기 때 심각한 재정난에 빠진 미국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인 GM미국 정부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습니다. 미국 정부는 GM에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며 파산을 방지했으며, 구조조정을 통해 효율성을 높였습니다.
    • 결과: 구조조정과 브랜드 재정비를 통해 다시 수익성을 확보하게 되었고, 이후 2010년에는 뉴욕 증시에 재상장하면서 성공적으로 회생했습니다.
  2. 크라이슬러(Chrysler)
    • 외부 지원: GM과 마찬가지로, 미국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인 크라이슬러도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 정부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습니다. 이후 이탈리아의 자동차 회사 피아트(Fiat)가 지분을 인수해 경영에 참여했습니다.
    • 결과: 피아트의 기술력과 브랜드 자원을 활용한 신차 개발로 시장 경쟁력을 회복해, 이후 FCA(Fiat Chrysler Automobiles)로 합병되어 턴어라운드에 성공했습니다.
  3. 유코스(Yukos)
    • 외부 지원: 러시아의 푸틴 정권하의 유코스 석유 회사는 1990년대 말 심각한 재정 위기에 직면했습니다. 러시아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재정 지원을 통해 운영을 재정비했습니다.
    • 결과: 2000년대 초반 러시아 경제가 호전됨에 따라 유코스는 다시 성장 궤도에 오를 수 있었으나, 이후 정치적 이슈로 인해 매각되었습니다.
  4. 한국항공우주산업(KAI)
    • 외부 지원: 2001년 파산 위기에 처했던 한국 대표 항공우주 산업한국 정부와 한국산업은행의 자금 지원을 통해 재정적 문제를 해결했습니다. 이후, 공적 자금과 함께 군수산업 및 민간항공기 사업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했습니다.
    • 결과: 정부와 투자자들의 지원을 바탕으로 항공 방위산업에 집중하며 경쟁력을 회복했고, 이후 한국 항공우주 산업의 핵심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.
  5. 알리탈리아(Alitalia)
    • 외부 지원: 이탈리아의 대표 항공사였던 알리탈리아는 재정난에 빠진 후 이탈리아 정부로부터 수차례 구제 금융과 지원을 받았습니다. 이후, 아랍에미리트의 에티하드 항공이 투자에 나서며 운영 지원을 했습니다.
    • 결과: 에티하드의 지원으로 일정 부분 턴어라운드에 성공했으나, 지속적인 구조조정 실패로 인해 결국 청산되었고, 현재는 정부 소유의 신생 항공사 ITA Airways로 재탄생했습니다.